두 시즌동안 공채에 지원하면서 느낀 후기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고, 다음에 자소서 쓸 일이 생기면 참고하는데 복기하고자 한다.
1. 기업 조사는 진행중인 사업 위주로 한다.
회사에 들어와서 채용 프로세스를 보니, 각 부서별로 필요한 인원의 수, 자질 등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따라 서류를 검토한다. 또한, 1차 면접(보통 역량면접)에서 실무진들이 면접관으로 참여한다. 이들은 진행중인 사업에 직접 수행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얘는 그래도 좀 해봤으니까 빨리 배우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게끔 하는 것이 유리하다. 실제로 나 1차면접때 들어온 면접관도 연수때 나를 기억하고 있더라. 그 이유인 즉슨 내 자소서를 보고, 회사가 필요한 인력이다 라는 것을 느꼈고, 1차에서 합격여부를 정했다고 한다. 물론 자소서에 MSG를 하도 많이 쳤기에, 뜬금없는 부서에 와서 고생하고 있지만, 일단 합격이 먼저라면 꼭 기업조사를 진행중인 사업 위주로 해서, 그 사업을 진행하기 적합한 인재임을 어필하는 것이 좋다.
2. 경험과 역량을 회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점과 연결시켜 작성한다.
정말 당연한 말이지만, 쓰다보면 꼭 까먹고 소설을 적는 경우가 많았다. 회사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조직에 이윤을 가져다줄 사람'을 뽑아야 한다. 이를 위해 수많은 지원자를 서류로만 갈라야 하는 아주 난처한 입장이다. 따라서, 어떠한 역량을 가졌고, 어떻게 회사에 도움이 될지를 인사담당자들이 고민할 필요 없게 아래 형식으로 적어준다.
서론: ~~~ 한 경험 또는 역량을 바탕으로 회사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이다. (경험~~~)
본론: 경험 또는 역량을 통해 성공한 경험
결론: 지원 직무 또는 회사에는 ~~~ 한 역량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험 또는 역량을 살려, 조직이 문제를 해결(커뮤니케이션, 지원직무 이슈 등)하는데 기여하겠다.
이 틀을 고정해놓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서론, 결론은 바뀌어도 상관 없을 것 같다. 또한, 기승전결 구조를 바탕으로
- 관심을 갖게된 계기
- 시작 및 문제 상황
- 해결하고자 한 노력
- 노력의 결과 -> 성공
- 배운점 +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
이정도 느낌으로 써주는 것도 좋을 것 같다.
3. 쉽게,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쓴다.
말했다시피, 인사담당자들은 피곤하다. 따라서, 중의적, 간접적인 표현은 모두 버리고 할말만 쓴다. 노력을 적을 때는 주절주절 하는 것보단, 명사 하나 던져놓고, 그것을 잘 포장하는 것도 좋은 것 같다.
4. 했던 프로젝트 기억 잘 떠올리고, 앞으로 진행할 프로젝트 싹다 적어놓는다.
막상 쓰다보면 진짜 기억안나고 할말 없다. 근데 뭔가 쓸말 있을 수도 있고, 특히 요구하는 내용이 겹치는 문항이 있을 떄 조커로다가 써먹을 수도 있다. 기억 안나면 살을 붙여서 말이 되게 만들고, 앞으로 뭔가 할 것이라면 회의록 작성 등을 통해 마주했던 문제가 무엇인지, 내가 어떻게 해결하고자 했는지를 꼭 적어놓자.